펠리클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노광공정에 사용되는 포토마스크에 부착되는 일종의 보호제입니다.
포토마스크 표면에 먼지가 붙을 경우, 이로 인해 설계된 회로 패턴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막기 위해, 투명한 막으로 만들어진 펠리클을 포토마스크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Pellicle사업부는 어떤 팀들로 구성되어 있고,
어떤 업무를 하고 계신가요?
또, 수율개선팀의 업무도 궁금합니다!
Pellicle사업부는 반도체용 펠리클과 디스플레이용 펠리클 생산 공정을 담당하는 공정기술팀과 품질팀을 중심으로, 생산계획과 운영을 담당하는 제조팀, 제품 판매와 고객과의 소통을
담당하는 영업팀, 신규 소재의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선행개발팀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가 속해 있는 수율개선팀은 펠리클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불량들을 분석하고
개선을 지원하는 부서로 주로 공정기술팀, 품질팀 엔지니어들과 협업하고 있습니다.
저는 주로 불량 원인 규명(Defect Trace)을 위한 분석 지원과,
불량 개선을 위한 신규 기술 도입 &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꼭 갖추어야 하는 역량은 무엇인가요?
수율개선팀은 각 부서의 인원들이 모여 활동한 TF가 정식 부서로 전환된 특수한 케이스입니다.
그로 인해 부서의 구성원들은 재료, 기계, 전자, 제어등 여러 분야의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업무 경험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수율 Data를 분석하거나 실험 평가의 객관적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선, 통계분석에 관한 지식을 갖추고, 관련 S/W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업무하시는데 어려운 점과 그럼에도 보람을 느끼는 순간이 있으실 것 같아요.
여러 부서와 공정의 업무를 지원하기에, 각각의 제반 사항들을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여러 요인들의 교호작용으로 나타나는 불량의 경우, 모든 요인들을 만족할 방안을 찾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여러 기술정보를 참고하거나 주변의 경험지식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며,
난이도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보람을 느낍니다.
과장님의 현재 업무에 가장 도움이 된 경험이 있을까요?
제 첫 직장의 사수가 보여줬던 배움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가 엔지니어로서의 마인드셋을 확립하고 지금까지의 업무 수행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제 사수는 본인이 남들보다 부족한 업무 지식과 노하우에 대해서 항상 배우고 습득하고자 노력했고, 심지어 본인보다 직급이 낮은 사람한테도 배움을 청하는 데에 주저하지 않았습니다.
향후 FST에서 이루고 싶은 커리어 목표는 무엇인가요?
수율개선 업무를 수년간 담당하면서 여러 불량의 발생 메커니즘을 확인하고 개선했지만,
여전히 규명되지 않은 불량들도 존재합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모든 불량의 발생 메커니즘을 증명하고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Pellicle사업부는 1년에 한 번 Tech Talk이라는 자리가 있다고 알고 있는데, 설명 부탁드립니다.
네, 저희 Pellcle사업부는 1년에 한번, 임직원들의 기술적 아이디어 공유하고 발표하는
‘Pellicle Tech Talk’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점점 공정의 기술적 난이도가 상승하는 환경에서, 개인 또는 부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자리를 갖는 것은 서로를 고충을 이해하고 서로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과장님이 생각하시는 수율개선 직무의 매력과 비전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다양한 공정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여러 기술들을 경험하고 공부할 수 있는 점이
현재 직무의 매력입니다.
비단 저희 사업부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에서, 고객들의 요구와 기술적 난이도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불량 개선을 지원하거나 전담하는 조직의 필요성은
증가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 직무를 희망하는 후배들에게 조언 부탁드립니다.
대학교에서의 과제나 프로젝트의 수행 경험이 면접뿐만 아니라 실무에서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프로젝트가 성공하든 실패하든, 그 과정과 결과에 대해 복기하는 것이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되니 잘 준비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